이슈9 얀센 부스터샷 예약 방법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얀센 부스터샷 예약 안내입니다. 얀센 부스터샷 필요성이 나오면서 추가접종 사전예약 일정 또한 알려드립니다. 미국 코로나19 백신인 얀센이 코로나 예방 효과가 88%에서 5개월 만에 3%로 급감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는 등 정부는 앞선 연구결과와 돌파 감염 사례가 발생하면서 얀센 접종자에게 화이자·모더나 등 mRNA백신을 추가로 맞는 것을 결정하였습니다. 📍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바로가기📍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ncvr2.kdca.go.kr 얀센 백신 부스터샷 대상자는? 얀센 백신 부스터샷 대상자는 18세 이상 얀센 백신 접종자 전원입니다. 추가적으로 화이자·모더나 백신의 경우에는 65세이상 고령층, 기저질환자와 면역저하자 등 감염 취약계.. 이슈 2021. 10. 30. 더보기 ›› 소상공인 손실보상 이의신청 및 콜센터 안내 소상공인 손실보상 이의신청 온라인 및 오프라인 방법에 대해서 안내해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소상공인 손실보상 콜센터, 채팅상담 관련 설명입니다. 지급기준은 아시다시피, 21.7.7부터 9.30일까지 집합금지 및 영업시간 제한 조치 이행으로 경영상 심각한 손실이 발생한 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 안내 바로가기 📍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 안내 코로나 19로 인한 소상공인 손실보상제도를 10월 08일 손상보상 심의위원회를 개최하였습니다. 10월말 신청, 지급 개시 예정입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상은 중소기업벤처부에서 10월 27일부터 온라 finviz.tistory.com 소상공인 손실보상 이의신청 방법 소상공인 이의신청은 확인보상 결과에도 동의하지 않는 경우, 확인보상 결과를 통.. 이슈 2021. 10. 28. 더보기 ›› 코로나 치료제 정보 베클루리주, 렉키로나주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허가된 의약품인 베클루리주, 렉키로나주 2개 품목을 소개해드립니다. 말라리아 치료제나 항응고제로 유통 중인 제품은 코로나19 예방·치료에 안전성·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는 2020년에는 경제를 뒤흔들었고 올해 2021년에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나카 백신까지 나오면서 현재 10월 23일은 위드 코로나, 트래블 버블 등 코로나가 곧 끝날 것처럼 보이는 기사들이 많이 나오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 전국 1차 접종은 79.3%인 반면에 여전히 세계 접종률이 최소 1회 이상 접종 48.32%, 완전 접종 36.77%까지 왔지만, 여전히 아직 전 세계 인구 50% 이상을 넘지 못하면서 여전히.. 이슈 2021. 10. 23. 더보기 ›› 소상공인 손실보상 대상 및 신청방법 손실보상금 계산법(신청서 첨부)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대상자 및 손실보상 계산법 내용 전달해드립니다. 2021년 10월 27일부터 나오는 소상공인 손실보상금에 대해 공고문에 따른 대상자와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 바로가기👇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신청하기, 신청결과 확인 등 xn--ob0bj71amzcca52h0a49u37n.kr 소상공인 손실보상의 대상 손실보상의 대상은 .🔺'21.7.7*~'21.9.30 동안 '감염예방법' 제49조 제1항 제2호에 따른 🔺집합 금지, 영업시간제한 방역조치를 이행하여 🔺경영상 심각한 손실이 발생한 '중소기업본법'상 🔺소기업입니다. * '소상공인법' 개정 당시('21.7.7.), 법이 공포된 날 이후 발생한 손실부터 적용토록 부칙에 명기 집합금지·영업시간제한은 .. 이슈 2021. 10. 17. 더보기 ›› 임금체불 신고로 고민일 때 대지급금 제도를 알아보자 '임금채권보장법' 개정으로 2021년 10월 14일부터 임금체불 관련하여 저희 같은 근로자들에게 희소식인 재직자 대지급금 제도가 신설되고, 대지급금 지급 절차가 간소화됨에 따라 소개해드립니다. 임금체불 문제로 재직근로자 및 퇴직근로자분들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서 이 포스팅에 들어오셨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대지급금 제도를 통해서 조금은 이런 어려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지급금 제도 살펴보기 '임금채권보장법' 개정으로 10월 14일부터 재직자 대지급금 제도가 신설되고 대지급금 지급 절차가 간소화됨에 따라, 시행령에 대지급금 지급 대상 근로자 기준을 마련하였습니다. 용어 변경 체당금 → 체불 임금 등 대지급금, 부정수급 제재 강화 등의 그 외 법 개정 내용에 따라 시행령을 정비하였습니다. .. 이슈 2021. 10. 1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